초고령화 사회 해법···'스마트돌봄'으로 접근 > 관련기사

관련기사

HOME > 관련자료 > 관련기사

초고령화 사회 해법···'스마트돌봄'으로 접근

작성자관리자

  • 등록일 23-04-04
  • 조회72회

본문


7db69daaafa7c7c455983c70a76c6271_1680605899_8248.jpg
 

초고령화 사회 해법···'스마트돌봄'으로 접근

이상적 돌봄위해 전문 인력 양성, ‘휴먼 터치와 디지털 조화’ 운영
AI, ICT, IoT 등 디지털 기술 활용해 안전사고 예방 및 건강 관리 도모
김성원 의원·최영희 의원, ‘스마트돌봄 혁신포럼’ 토론회 개최


7db69daaafa7c7c455983c70a76c6271_1680606679_6334.png
국민의힘 김성원 의원과 최영희 의원이 지난 3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개최한 ‘스마트돌봄 혁신포럼’에서 초고령사회에 이상적인 돌봄을 위해서는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한 ‘휴먼 터치(Human touch)와 디지털의 조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7db69daaafa7c7c455983c70a76c6271_1680606736_3482.jpg
 
김성원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위기를 기회로, 초고령화 현상은 경제 활력 저해 요인이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의 IoT, AI 기술력과 고령화 현상을 적절히 융합한다면 실버산업이라는 국가 신성장 동력을 마련할 수 있다”며 “민·관의 유기적인 협력에 의한 중·장기적 스마트돌봄 기술 연구개발과 속도감 있는 정부 지원을 통한 스마트 기술 역량 확보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7db69daaafa7c7c455983c70a76c6271_1680606792_744.jpg
최영희 의원은 “디지털 헬스케어와 빅데이터 기반 첨단·정밀 의료 확산을 위해서는 의료기관별 정보화 격차·의료취약 지역 서비스 접근 불편·기기 관련 법제 및 인프라 부족을 해결해야 한다”며 “이번 포럼을 통해 미래 발전에 역행하는 규제를 타파하고, 스마트돌봄 산업이 훌륭히 정착될 수 있도록 국회 복지위로서 입법·정책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7db69daaafa7c7c455983c70a76c6271_1680606834_4127.jpg

이윤신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 과장은 ‘노인복지정책의 과제와 스마트돌봄 추진 현황’이라는 발제를 통해 정부는 100세 시대 일자리 창출과 돌봄 체계 강화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이윤신 과장에 따르면 오는 2025년부터 우리나라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며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노인복지 관련 수요도 급증할 전망이다. 또 노인 복지정책 욕구 또한 기존 취약노인 중심에서 문화 및 여가생활 등 노인들의 주체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변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복지부의 스마트돌봄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면 △자택 화재, 고독사 등 안전사고 대응 △독거 어르신 외로움 등 정서 지원 △건강 관리 장비 △치매노인 배회 시 위치 추적 등을 추진 중이다.


이윤신 과장은 “노인 인구의 74.1%가 노인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으로 인지하고 있으며, 스스로 ‘나는 건강하고, 더 일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스마트돌봄 관련 정책의 여건 마련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과장은 올해는 국정과제인 ‘100세 시대 일자리·건강·돌봄체계 강화’ 정책에 따라 △고령화산업 연계 복지기술 R&D 확대 및 강화 △스마트 기술 기반 독거인 등의 안전한 생활 지원 △고령 친화 우수제품 활성화 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7db69daaafa7c7c455983c70a76c6271_1680606892_5565.jpg

이어 양승희 스마트돌봄융복협회 회장은 ‘스마트 돌봄 융복합 혁신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제에 나서며 돌봄 인식제고와 전문교육을 통해 주민이 직접 디지털기술을 활용해 이웃과 사회의 안전망이 되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양승희 회장은 ‘스마트돌봄’에 대해 AI(인공지능), ICT(정보통신), IoT(사물인터넷)기술을 통해 대상자의 일상생활 패턴, 주거환경정보, 건강관리 및 응급 상황 사전 감지 등의 빅데이터로 개인 맞춤형 돌봄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정의했으며, 현재 통신사·기기회사·공공기관에서 웨어러블, 로봇, ICT 기반 인공지능스피커, 스마트센서 등을 통해 스마트돌봄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승희 회장은 “고령화 시대에 피부양 인구 증가를 따라잡지 못하는 돌봄 인력 수급난 과 함께 임금에 비해 높은 노동 강도가 요구되는 돌봄 서비스 기피 현상, 사회안전망의 열악함이 야기됨에 따라 스마트돌봄 또한 혁신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양승희 회장은 성공적인 스마트돌봄 혁명 방안으로 △지자체와 주민들의 참여의지와 역량 요구 △지역주체와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거버넌스 숙고 △스마트돌봄에 대한 국민의 인식제고와 홍보 △다학제 융복합 스마트돌봄 모델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양 회장은 “스마트 돌봄을 단순히 AI나 ICT 기술을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준이 아닌 사회보장·사회복지와 같이 스마트돌봄의 표준화·체계화가 필요하다”며 “이와 함께 스마트돌봄에 대한 국민의 인식제고와 전문교육도 이뤄져 주민이 직접 디지털기술을 활용해 이웃과 사회의 안전망이 되어준다면 우리나라 노인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제언했다.


특히 양 회장은 인간의 온도와 감성을 전달하는 ‘휴먼 터치(Human touch)와 디지털 조화’의 일환으로 공무원을 비롯해 사회복지사, 간호 인력, 요양보호사 등 돌봄 인력을 스마트 케어 매니저로 교육하는 ‘스마트돌봄 전문가 양성’ 안을 제시했으며, 올해 600명 이상 배출을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7db69daaafa7c7c455983c70a76c6271_1680606938_3681.jpg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 김영선 경희대학교 노인학과 교수는 “지속적인 스마트 돌봄 생태계가 조성되려면 해당 기술자와 제품 사용자를 위한 기술 개발, 사용자 중심의 실증, 서비스 모델 개발, 정책·제도의 공적 연계 등 주기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특히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급격히 디지털화되고 있는 근무환경에 있는 돌봄 인력을 위해 지속적·체계적 교육훈련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김택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고령친화서비스단 단장은 “AI가 어르신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모든 통화가 연결되는 것이 아니며, 반대로 전화하는 경우 보안 관리가 필요하기에 돌봄자에게는 이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과 디지털 서비스 교육도 중요하게 다뤄져야 한다”며 “이는 어르신들이 받아드리기 쉽고, 효율성 확보가 가능한 디지털 서비스부터 현장 적용을 통해 검증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윤수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혁신사업센터 센터장은 “노인서비스를 제공한 인력은 그동안 휴먼 서비스로만 교육이 이뤄져 스마트돌봄으로의 전환을 두려워하는 성향이 있다”며 “이를 위해 디지털 전문교육을 통한 돌봄 인력이 양성돼야 하며, 결국 ‘휴먼 터치’는 사람의 몫이기에 스마트돌봄으로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인력 양성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현구 기자

경기 의정부시 경의로 13 용호빌딩 204호
전화번호 (010-9825-2192 / 010-4528-8021/010-8700-3545)
팩스 031-877-2192
고유번호 : 122-82-86639

Copyright ⓒ 스마트돌봄융복합협회 All rights reserved.

관리자로그인 메이크24 바로가기